본문 바로가기
쉽게 다가가는 경제

공모주

by mond_der_stern 2025. 2. 21.
반응형

공모주는 기업이 상장(IPO, Initial Public Offering)을 하기 위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공개적으로 주식을 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. 쉽게 말해 처음으로 주식을 일반인에게 파는 과정이다.

[ 공모주의 특징 ]
1. 기업이 상장 전 주식을 발행 → 투자자들이 일정한 가격에 구매 가능
2. 보통 시가보다 낮은 가격에 제공 → 상장 후 주가가 오르면 차익 실현 가능
3. 청약을 통해 배정 → 경쟁률이 높으면 원하는 만큼 받기 어려움

[ 공모주 청약 과정 ]
1. 공모주 일정 발표 (기업이 증권사와 협의 후 공모 진행)
2. 수요예측 (기관 투자자들이 예상 가격을 평가)
3. 공모가 확정 (주당 가격 결정)
4. 일반 투자자 청약 (청약 신청 후 증거금 납입)
5. 배정 및 환불 (신청 수량에 따라 주식 배정, 초과 금액 환불)
6. 상장 후 거래 시작

[ 공모주의 장점 & 단점 ]
※ 장점 ※
상장 후 주가 상승 시 차익 실현 가능
비교적 낮은 가격에 주식 매수 가능
소액 투자 가능

※ 단점 ※
높은 경쟁률로 원하는 수량을 못 받을 수도 있음
상장 후 주가 하락 시 손실 가능성 있음
청약 시 일정 기간 자금이 묶이는 점 고려 필요

[ 대표적인 공모주 사례 ]
카카오뱅크, SK바이오사이언스, LG에너지솔루션 등은 공모주 청약 당시 큰 관심을 받았고, 상장 후에도 큰 변동성을 보였다.

공모주 투자는 신중하게!
공모주 청약이 항상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므로, 기업의 성장 가능성, 시장 상황, 경쟁률 등을 꼼꼼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.

반응형